공란으로 39개 검색됨
- 반도체 기반 디지털 탁도 센서로 만드는 수질 관제 시스템
지금까지 없었던 정수기의 탁도 측정과 데이터 관리 가정과 사무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수기 대부분은 실시간 탁도 모니터링 기능이 부족합니다. 일부 TDS 센서가 탑재된 정수기도 있지만, 이로는 세균, 미세 플라스틱, 대장균, 곰팡이를 감지할 수 없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이 정수기를 사용하면서도 여전히 물의 안전성에 대해 불안감을 느낍니다. "측정할 수 없다면 개선할 수 없다" 는 말처럼, 정수기 업계는 이제 이 문제 해결을 우선 과제로 삼아야 합니다. 글로벌 기업들의 공감과 경고: 안정적인 수질 데이터의 필요성 이 모니터링의 필요성은 가정 내 수질 관리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최근 유럽의 Siemens, Ecolab, Suez, Veolia, Xylem과 같은 주요 기업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질 데이터와 표준화된 측정 시스템의 부재가 물 자원의 회복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EU의 정책입안자들에게 경고하며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가정에서 국가 차원에 이르기까지 정확하고 실시간적인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더웨이브톡의 혁신적 솔루션: 세계 최초 반도체 기반 디지털 탁도 센서 정수기는 가정 내 작은 정수장과도 같습니다. 실제 정수장에서는 탁도 측정이 필수적이며,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즉시 물 공급이 중단됩니다. 그러나 고가 장비와 큰 크기 때문에 가정용 정수기에 이러한 탁도 센서를 탑재하기 어려웠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웨이브톡은 세계 최초 반도체 기반 디지털 탁도 센서를 개발 했습니다. 이 혁신적인 센서는 물 속 불순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소비자가 직접 수질을 확인할 수 있게 돕습니다. 기존 센서보다 1,000배의 정밀도와 100배의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며, 소형화되어 정수기에 쉽게 통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 인증기관의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과 성능을 입증받아 여러 시장에서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우리는 이제 필터만 있는 '반쪽짜리 정수기'에서 센서와 필터가 모두 갖춰진 진정한 정수기 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비용 절감과 효율적 관리: IoT와 빅데이터로 완성된 스마트 수질 모니터링 같은 정수기를 사용하더라도 수질 환경에 따라 필터 오염 속도는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정수기는 이러한 차이를 반영하지 못해, 일률적인 주기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오염 위험이 증가하고 불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합니다. 더웨이브톡의 디지털 탁도 센서는 실시간 수질 감지 기능뿐 아니라 유지보수 비용 절감에 획기적 인 변화를 제공합니다. 기존 탁도계보다 40배 긴 유지보수 주기를 제공하여 필터 교체 빈도를 줄여주며, IoT 및 빅데이터와 연계하여 필터와 밸브 상태를 예측, 최적의 교체 시기를 안내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는 물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기업에게는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자산 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더웨이브톡의 기술력 더웨이브톡의 디지털 탁도 센서는 이미 주요 글로벌 가전업체 정수기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으며, 2025년에는 다양한 글로벌 제조사의 정수기 모델에도 적용될 예정입니다.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도 수질 모니터링 기술 수요가 증가하면서, 더웨이브톡은 그 기술력과 비용 효율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넓히고 있습니다. 정수기에 들어가는 탁도센서의 성공은 관망의 수질 관리, 초순수, 음용수 레저용수, 산업용수에 이르기까지 모든 물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것입니다. “정수기에 들어가는 탁도계라면 모든 물 산업에 적용 가능합니다” 글로벌 표준을 향한 더웨이브톡의 비전 더웨이브톡의 디지털 탁도 센서는 전 세계 물 산업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는 변하지 않으며, 더웨이브톡의 기술은 이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우리집 물의 수질을 알 수 없던 시대가 있었어?” 라는 말을 할 날이 오기를 바라며, 더웨이브톡은 그 변화를 주도하며 글로벌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 수도 관망 관리의 미래: AI 기반 탁도 데이터 분석
AI 딥러닝 기반 탁도 데이터 분석 은 수도 관망 관리의 새로운 표준이 될 전망입니다. 현재 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의 한계 현행 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은 주로 막힘, 부식, 누수와 같은 문제를 사후 대응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관리 방식은 예측 기능이 부족하여 문제 발생 후에야 대응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초래합니다: 수질 저하 운영 비효율성 예기치 못한 유지보수 응급 상황으로 인한 비용 증가 특히, 탁도 (입자 및 잠재적 오염물의 존재를 측정하는 중요한 수질 지표)의 실시간 예측 데이터가 부족하면, 작은 문제가 큰 문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질 기준 준수와 운영 효율성을 저해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인프라를 사전에 보호하고 수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AI 딥러닝 기반 탁도 센서: The Wave Talk의 혁신적인 솔루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he Wave Talk 은 AI 기반 탁도 데이터 분석 을 활용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AI 기술과 실시간 탁도 모니터링을 통합함으로써, 공공 유틸리티 운영자와 관망 관리자는 수질과 인프라 상태에 대한 예측적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솔루션의 주요 특징 : 1. 실시간 데이터 분석 AI 알고리즘은 탁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오염 초기 징후나 기타 문제를 감지합니다. 특정 구역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탁도 변동 패턴을 식별해, 사람이 놓치기 쉬운 문제를 탐지합니다. 2. 최적화된 유지보수 일정 AI 기반 분석을 통해 위험이 높은 구역을 우선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고정된 점검 일정에 대한 의존도를 줄입니다. 주요 구역에 자원을 집중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작은 문제가 구조적 손상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3. 강화된 규제 준수 지속적인 탁도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이 항상 규제 기준을 충족하도록 보장합니다. 안전 탁도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즉각적인 알림이 전송되어, 오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AI와 탁도 모니터링의 통합은 수도 관망 관리에서 새로운 기준을 세우며, 인프라와 수질을 보호하는 예측적이고 데이터 중심적인 관리 방식 으로의 전환을 제공합니다. AI와 실시간 탁도 분석을 통한 수도 관망 관리 재정의 수도 관망 관리의 미래는 AI와 실시간 탁도 데이터 분석의 완벽한 통합 에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접근 방식은 예측적이고 예방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며, 문제를 조기에 해결합니다. 공공 유틸리티 운영자와 관망 관리자가 AI 기반 탁도 모니터링을 도입하면, 인프라와 수질 보호를 위한 새로운 표준이 정립됩니다. The Wave Talk 의 PipeTalk 은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 서 있으며, 수도 관망 관리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함께 지속 가능한 인프라와 수자원 관리를 실현합시다.
- 임상연구 진행 사항(이종균 검출, 칸디다 질염, 항생제 감수성)
1) 이종균 검출 과제 수행 내역 : 네트워크 기반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배양 미생물의 순도 분석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ulturing Microorganism's Purity Analysis Technology using Network-Based Deep Learning Algorithm) (2019-12-02~2021-12-01, 중소벤처기업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 칸디다 질염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과 임상 연구 진행 중 (2022.3.~현재, 환자 임상실험 단계) 과제 수행 내역 : Laser 산란 신호 증폭과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candida vaginitis 신속 진단법의 개발 (김기동 교수님) 3) 항생제 감수성 test J대학병원 임상 진행 중. 기존 신호 증폭만으로 200분 이내 MIC 판정이 가능. 이미지 분석을 통해 60분 이내 항생제 감수성 여부 판정이 가능하게 되어 J대학병원과 임상 진행 중.
- 성능 검증 결과
01. 0~5 NTU 범위에서 기존 제품과의 비교 테스트 포르마진을 사용한 단기 테스트(1시간 30분) 9단계 칼리브레이션(최저값: 0.35 NTU, 최고값: 5.1 NTU) 0~5 NTU 범위를 9단계로 나누어 더웨이브톡의 모듈 센서와 타사 제품 간의 비교 테스트 결과 두 제품 간의 동일한 샘플에 대한 측정값은 R²=0.9992의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측정값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02. 저농도(<1 NTU) 범위에서 기존 제품과의 비교 테스트 파란색 선: 더웨이브톡 센서 / 회색 선: 타사의 인라인 탁도계 / 주황색 점: 타사의 테이블탑 탁도계 0~1 NTU 저농도 범위를 4단계로 나누어 더웨이브톡 센서와 두 개의 타사 제품 간의 비교 테스트 결과 더웨이브톡 센서와 타사의 테이블탑 제품 간의 측정값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저농도 범위(1NTU 미만)에서도 더웨이브톡 센서와 타사 제품 간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 DWP #1: 간이정수기에서 숯가루가 나온다고?
이 영상은 첨단 수질 측정 기업 '더웨이브톡'의 자체 프로젝트 'DWP'(Digitized Water Project)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사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우리 사회가 보다 깨끗한 물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DWP 프로젝트는 이번 영상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시리즈에 걸쳐 프로토타입 제품들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해 다양한 분야에서 깨끗한 물을 위한 실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더웨이브톡의 사명처럼, 보다 많은 사람들이 깨끗하고 맑은 물을 마시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께 만들어 나가고자 합니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필터 전 물의 탁도 값은 0.40(NTU)이며, 사용되는 물의 수질에 따라 실험 결과 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Solving The Last Mile Problem in Water Quality
Curious about the challenges of delivering safe drinking water to every home? Our latest white paper dives deep into the "Last Mile Problem" and how the world’s first deep learning sensor-on-a-chip is revolutionizing water quality monitoring. Download the full white paper to explore how we're tackling these issues and ensuring safer water for all.
- 요로감염 진단 활용 연구
연세대 진단검사 의학과와 임상 연구 진행 및 논문 발표(ASM Journal) GMP 인증, 식약처 인허가를 위한 의료기기 장비 검사가 KTL 시험 완료 과제 수행 내역 : 현장 진료용 요로감염 원인균 실시간 분석장비 상용화 개발 (2019-06-01~2020-12-31,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요로 감염 장비 (Bacometer)에 대한 연구자 임상 결과로 2022년 학회 발표 총 263명의 환자에 대하여 동일한 소변 샘플을 기존 배양법과 Bacometer로 분석한 결과임 감염 기준을 5,000cfu/ml로 할 경우 Sensitivity 100%, Specificity는 98.3%로 FDA 승인 받은 제품대비 높은 확률로 검사 시간도 30분으로 기존 배양법 시간 24시간 대비 월등한 검사 시간 단축을 할 수 있음 표1. 두 가지 양성 소변 배양 기준값에 따른 두 하위 집합(전체 집합 및 trained-species 집합)의 양성 소변 배양 예측에 대한 성능 파라미터 Testing Set(no.) Cutoff (CFU/ml) Accuracy (%) Sensitivity (%) Specificity(%) Overall(263) 1,000 90.9 76.1 98.3 50,000 98.5 100.0 98.3 Trained species(195) 1,000 97.9 95.0 98.3 50,000 99.0 100.0 98.9
- 스케일 이펙트(무보수 검증) 실험 결과
약 13개월간 세척을 포함한 메인터넌스 없이 정수장에 설치하여 타사 제품과 비교한 결과. 측정 값은 타사 제품과 차이가 없으며, 타사 제품에서 탁도가 올라가면 자사 제품도 같이 올라 가는 경향을 똑같이 보임. 아래 scale effect 결과는 자사 자체적으로 1년동안 세척 및 메이터넌스 없이 진행 후 내부 scale이 생겨도 측정 결과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 이와 같은 특성은 자사만의 측정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탁도 측정에 scale effect이 상쇄되어 오랜 기간 무보수로 동작 가능.
- 세균 측정 테스트 결과
세균 존재 여부 확인 가능 검증 결과 WaTalk 측정값과 세균 수에 대한 상관 관계 Test 결과. 세균 수 2,000 CFU/mL에 대해서는 0.06 NTU 이하의 값에서 탁도 차이가 없으나, 그 이상의 세균 수에 대해서는 탁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음. 필터된 깨끗한 물의 탁도 값이 0.06 NTU 이상이 될 경우 이물질 오염과 박테리아 오염을 같이 의심해 볼 수 있어 얼음을 녹인 물에 대해서 모니터링 장비로 활용 가능.
- 특허 보유 현황
등록 특허 보유 건수: 50건 (국내 32건, 미국 12건, 일본 3건, 중국 2건, 유럽 1건 등) No 국가 등록일 등록번호 발명의 명칭 1 대한민국 2016.12.18. 제10-1686766호 레이저 스페클을 이용한 세균 및 미생물 탐지 장치 및 방법 2 미국 2018.06.19. US 10,001,467 B2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ICROBES OR BACTERIA 3 대한민국 2018.11.15. 제10-1920852호 미생물 존재 검출용포장용기,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존재 검출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내의 미생물 존재 검출방법 4 대한민국 2019.01.11. 제10-1939779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유체 내 미생물 감지 시스템 5 대한민국 2019.03.11. 제10-1959023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개체 식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체 식별 방법 6 대한민국 2019.04.16. 제10-1971272호 패턴 구조물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7 대한민국 2019.08.05. 제10-2009370호 스펙클 검사 장치 및 스펙클 증폭 장치 8 대한민국 2019.08.30. 제10-2018895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방법 9 대한민국 2019.12.06. 제10-2055310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항생제 적합성 검사 장치 10 미국 2020.02.04. US 10,551,293 B2 Apparatus for Detecting Sample Properties Using Chaotic Wave Sensor 11 미국 2020.03.10. US 10,585,039 B1 Optical Detection System 12 대한민국 2020.05.14. 제10-2113311호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방법 및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시스템 13 대한민국 2020.05.14. 제10-2113312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유체 내 불순물 검출 시스템 14 대한민국 2020.06.29. 제10-2130100호 광학 검출 시스템 15 미국 2020.12.01. US 10,852,246 B2 PATTERN STRUCTURE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16 대한민국 2021.01.19. 제10-2207043호 공기중 부유균 측정 장치 17 대한민국 2021.01.19. 제10-2207041호 광학 측정 장치 18 대한민국 2021.01.20. 제10-2207945호 미생물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19 미국 2021.02.09. US 10,914,665 B2 Apparatus for detecting sample properties using chaotic wave sensor 20 중국 2021.03.02. ZL201680079041.1 利用混沌波传感器的样品特性探测装置 21 일본 2021.03.11. 特許第6851468号 パターン構造物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22 대한민국 2021.04.20. 제10-2244330호 인체 주입물 이송 장치 및 방법 23 대한민국 2021.07.05. 제10-2275361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유체 내 미생물 감지 시스템 24 유럽 2021.07.07. EP 3 171 160 B1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ICROBES OR BACTERIA 25 대한민국 2021.07.28. 제10-2285089호 미생물 검출 장비 26 대한민국 2021.08.24. 제10-2295256호 테스트용 시료 수용 블록 및 이를 사용하는 미생물 검출 장비 27 대한민국 2021.09.29. 제10-2309613호 미생물 검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28 대한민국 2021.10.14. 제10-2315435호 미생물 콜로니 검출 시스템 29 미국 2021.10.26. US 11,156,541 B2 Optical Detecting System 30 중국 2021.11.05. ZL201780034467.X 图案结构物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31 대한민국 2021.12.09. 제10-2339338호 영상 정보 획득 장치 32 미국 2022.01.04. US 11,215,556 B2 OPTICAL DETECTION SYSTEM 33 미국 2022.03.01. US 11,262,287 B2 Apparatus for Detecting Sample Properties Using Chaotic Wave Sensor 34 일본 2022.03.09. 第7037842号 光学検出システム 35 미국 2022.03.22. US 11,280,716 B2 OPTICAL DETECTING SYSTEM 36 대한민국 2022.04.04. 제10-2384408호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방법 및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시스템 37 일본 2022.04.15. 第7058837号 混沌波センサを利用した試料特性探知装置 38 대한민국 2022.04.29. 제10-2394135호 혼돈파 센서를 이용한 유체 내 불순물 검출 시스템 39 대한민국 2022.06.03. 제10-2407130호 수질 검사기 40 미국 2022.07.19. US 11,391,659 B2 OPTICAL DETECTING SYSTEM 41 미국 2022.08.30. US 11,428,629 B2 INTESTINAL MICROORGANISM DETECTION SYSTEM 42 대한민국 2022.10.06. 제10-2453456호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방법 및 미생물 개체수의 계수 시스템 43 대한민국 2022.11.08. 제10-2466257호 다중 광원을 활용한 분광 장치 44 대한민국 2022.11.10. 제10-2467300호 스페클 패턴을 이용한 정밀 탁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45 미국 2022.11.29. US 11,513,049 B2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icrobes 46 대한민국 2023.02.01. 제10-2496066호 수질 검사기 47 대한민국 2023.04.26. 제10-2528000호 광학 측정 장치 48 대한민국 2023.04.26. 제10-2528012호 공기중 부유균 측정 장치 49 대한민국 2023.06.09. 제10-2543670호 탁도계 50 대한민국 2023.06.16. 제10-2546325호 장내 미생물 검출 시스템
- Extra Mile : Inversion
Waste Water Treatment Plant 수질측정 IoT 센서는 폐수 처리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이들은 들어오는 폐수의 다양한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고, 처리 과정을 안내하며, 처리된 물이 방류나 재사용에 필요한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합니다. 처리 과정의 효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 센서들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운영 비용을 낮추며, 물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Last Mile : Individuals
공공 및 집단시설 대형 공공기관 및 건물 등의 집단시설은 파급력이 크므로 수질 관리는 더욱 중요하고, 더 엄격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산후조리원, 요양시설 등은 감염에 취약한 대상이 많으므로 음용수 및 생활용수 수질 관리는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무보수 수질 품질 모니터링으로 비용 절감과 고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며, 간편한 사용과 유지보수로 직원들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Ex) 공공 음수대, 스마트빌딩, 호텔 및 리조트, 유치원, 산후조리원, 요양시설 요식업장 요식업장의 수질은 업장의 위생을 대표하는 지표로 위생등급제의 측정 사항입니다. 깨끗한 위생관리를 통해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수질문제로 인한 사업의 위험성을 미리 관리해야 합니다. 음용수, 조리수 등의 원수에 대한 수질관리와 정수기, 커피머신, 제빙기 등의 조리기계로 인한 오염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여러 명의 직원 및 관리자들이 신뢰 높은 데이터로 유기적으로 시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Ex) 백화점, 대형마트, 몰 등의 푸드코트 / 학교, 군부대 등의 집단급식시설 / 업소용 제빙기 사용 시설(카페, 주점, 음식점) 가정 가정 내 수질측정기를 사용하면 물의 품질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함으로써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수기, 가습기 등 물과 관련된 각종 가전제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개인의 수질측정도구를 통해 많은 접점에서 양질의 수질데이터를 수집하여 궁극적으로 모두가 깨끗한 수질을 영위할 수 있게 합니다. Ex) 정수기, 세탁기, 식기세척기, 에어컨, 가습기 등의 소형가전, 스마트 수도 계량기, 스마트 수도꼭지, 스마트 가전용 세균 모니터링 등